Linux 환경에서 MySQL을 사용하기 위해서 설치 및 설치한 MySQL을 VScode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터미널 환경이 아닌 GUI에서 간단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연동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MySQL 설치 후 접속 하는 방법까지 알아보고 계정 생성과 플러그인 연동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겠습니다
* 본 설치는 Github Codespaces의 우분투 운영체제에서 진행했습니다
[GitHub] 무료 원격 개발 환경 GitHub CodeSpaces 소개 및 사용방법
1. GitHub CodeSpaces란? GitHub CodeSpaces는 GitHub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호스트 되는 개발 환경입니다기본적으로 개발 환경은 Linux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며 접근 환경은 브라우저,VScode,JetBrains
white63ser.tistory.com
설치 환경
- IDE: VScode (Github Codespaces)
- OS: Ubuntu 20.04.6 LTS
1. 리눅스(Ubuntu) MySQL 설치
-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우분투(Ubuntu) 기반의 리눅스 시스템에서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 하는 명령어"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전에 위 명령어를 통해서 최신 버전의 패키지를 받아 최신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 sudo: 시스템 관리 권한을 얻기 위한 명령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apt-get: 패키지 관리 도구
- update: 패키지 목록을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
- MySQL 설치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우분투(Ubuntu) 기반의 리눅스 시스템에서 MySQL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설치하는 명령어"
- sudo: 시스템 관리 권한을 얻기 위한 명령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apt-get: 패키지 관리 도구
- install: 패키지 설치 옵션
- mysql-server: 패키지 이름 (MySQL 서버)
Do you want to continue? [Y/n]: y 입력후 Enter
- MySQL 버전 확인
mysql —version
"MySQL의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설치한 MySQL 서버가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된지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2. MySQL 접속
- MySQL 실행
sudo systemctl start mysql
"MySQL 서버를 시작하는 명령어"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 활성화 및 클라이언트 연결을 할수있게 됩니다
- sudo: 시스템 관리 권한을 얻기 위한 명령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systemctl: systemd 시스템 관리 도구 (시스템 서비스를 관리)
- start: 서비스를 시작
- mysql: 시작할 서비스 이름
- "systemd" is not running in this container due to its overhead.
"systemd" is not running in this container due to its overhead.
Use the "service" command to start services instead. e.g.:
컨테이너 환경에서는 systemd가 실행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systemctl를 service 명령어로 변경하면 오류가 해결됩니다
sudo service mysql start
- service: systemctl을 대신하는 서비스 제어 명령어
- mysql: 시작할 서비스 이름
- start: 서비스 시작
- No such file or directory
현재 위치한 디렉터리에서 해당 파일을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밑에 나와있는 경로로 이동후에 명령어를 실행시켜 줍니다
cd 명령어를 통해서 경로 이동 (cd /경로)
* MySQL 서버 실행 완료!
- root 유저로 MySQL 서버 접속
sudo /usr/bin/mysql -u root -p
MySQL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root 사용자로 접속하는 명령어입니다
[명령어를 실행하면 비밀번호를 묻는 프롬프트가 나오는데 root 계정의 초기 비밀번호는 root입니다]
- /usr/bin/mysql: MySQL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로 (시스템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u root: root 사용자로 MySQL에 접속하는 옵션 (기본 관리자 계정)
- -p: 비밀번호 입력 옵션
이렇게 클라이언트에 root 사용자로 접속까지 완료했습니다 이번에는 GitHub의 Codespaces를 활용해서 MySQL 설치 및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봤습니다 일반적인 Linux 기반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 및 접속이 가능합니다
컴퓨터를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Codespace를 자주 활용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가상환경에서도 간단한 개발을 하기 위해서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AWS에서 Linux 컴퓨터를 빌려서 MySQL 서버를 설치하는 방법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설치한 MySQL에 계정을 만들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VScode 플러그인 활용으로 간단하게 GUI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Back-end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윈도우 MySQL & Workbench 설치 방법 (0) | 2024.12.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