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며 소스코드를 관리하며 협업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개발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git을 통해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git 설치
프로젝트에 사용하기 위해서 git을 먼저 설치해줘야 합니다
운영체제마다 설치 방법이 다릅니다
- Window 설치 방법
Git - Downloading Package
Download for Windows Click here to download the latest (2.44.0) 32-bit version of Git for Windows. This is the most recent maintained build. It was released about 2 months ago, on 2024-02-23. Other Git for Windows downloads Standalone Installer 32-bit Git
git-scm.com
1. git 공식 홈페이지에서 window용을 다운받아 줍니다
2. 설치한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 방법에 따라 진행 합니다
3. 설치가 완료 되면 명령 프롬프트(cmd) 또는 git bash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를 통해 설치 확인
$ git --version
$ // git version 2.44.0
- MacOS 설치 방법
MacOS는 기본적으로 git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먼저 아래 명령어를 통해 설치 확인을 해봅시다
$ git --version
$ // git version 2.44.0
만약 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Homebrew를 통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을 통해 설치를 진행합니다
brew install git
- Linux (Ubuntu)설치 방법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서 설치할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통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git
설치가 완료되면 동일하게 다음 명령어를 통해 설치 확인
$ git --version
$ // git version 2.44.0
git 로컬 저장소 생성 (init)
프로젝트 디렉터리로 이동후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를 통해 새로운 git 로컬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위치한 디렉터리에 git 저장소가 생성됩니다 (.git)
.git 파일은 숨김파일로 window 파일탐색기 확인 하기 위해서 숨김파일 보기 옵션을 체크해야 합니다
리눅스 터미널에서는 ls - a 명령어로 숨김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징 영역에 파일 추가 (add)
프로젝트에 있는 소스코드 및 파일들을 추적하기 위해서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해야 합니다
하나의 파일을 추가할 때는 다음 명령어를 통해 추가할 수 있습니다
$ git add (파일명)
여러 개의 파일을 한번에 추가 하는 방법은 다음 명령어를 통해 사용합니다
$ git add (파일1) (파일2)
$ git add . (현 디렉토리 모든 파일)
공백을 통해서 여러개의 파일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을 통해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을 모두 추가 할수 있습니다
터미널을 통해 GitTest.txt 파일을 만들고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를 해봤습니다
현재 GitHub CodeSpace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커밋하기 (Commit)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했던 파일을 커밋하여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커밋 메시지"는 해당 커밋의 설명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간결하게 작성합니다
협업을 진행할 시 사전에 커밋 양식을 정해놓고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커밋 옵션
- "-m":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커밋 메시지를 지정하는 옵션
- "-a": 모든 변경 사항을 스테이징 하는 옵션입니다 "git add" 작업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 "-am": "-a"과"-m"을 동시에 진행하는 옵션입니다
- "-amend": 최근 커밋을 수정하는 옵션입니다 커밋 내용 및 커밋 메시지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git을 통해서 프로젝트의 소스코드를 로컬에서 관리하는 방법을 정리해 봤습니다
커밋한 파일들을 GitHub라는 원격 저장소에 Push 하여 로컬이 아닌 원격 저장소에서 관리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다음에는 로컬 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git을 통해서 GitHub에 올려보는 작업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오픈소스에 기여에 도전하기 (first-contributions) (0) | 2025.01.05 |
---|---|
[GitHub] 5분만에 Gist를 티스토리에 공유해보자 (Gist 생성 및 공유방법) (3) | 2024.09.29 |
[GitHub] 무료 원격 개발 환경 GitHub CodeSpaces 소개 및 사용방법 (0) | 2024.08.14 |
[GitHub] 대학생 Pro 플랜으로 무료로 업그레이드 하기 (뱃지 증정) (1) | 202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