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간복잡도1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와 계산법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란? 입력값과 연산 수행 시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척도 알고리즘 문제 보면 프로그램 실행 시간이 주어집니다 만약 1초가 주어진다고 하면 모든 형태의 입력 값을 처리하는데 1초 이상이 걸리면 안 되며 제한 시간을 넘어가면 시간 초과로 인해 오답 처리가 되게 됩니다 작성한 코드가 문제의 제한 시간에 모든 연산을 마칠 수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알고리즘의 실행 시간과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시간 복잡도를 이용해서 그에 맞는 알고리즘 또는 방법을 선정하여 답을 도출합니다 시간 복잡도 유형 빅-오메가(Ω): 최선일 때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빅-세타(Θ): 보통일 때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빅-오(O): 최악일 때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주로 빅-오(O) .. 2024. 3. 29. 이전 1 다음 반응형